본문 바로가기
AI,IT테크

엔비디아 실적 발표 전 미리 살펴보는 엔비디아 예상 실적

by 이코뉴비 2024. 5. 22.

엔비디아 1분기 예상 실적 및 분석

1. 엔비디아 1분기 예상 실적

1.1 예상 매출

엔비디아의 1분기 예상 매출은 25억 달러로, 이는 한화로 약 33조 원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매출은 엔비디아가 4년 전 대비 10배의 성장을 이룬 결과입니다.

 

1.2 주가 성장

엔비디아는 여러 분기 연속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주가에도 반영되어, 4년 전 대비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1.3 매출 가이던스

25억 달러의 매출 가이던스는 매우 높은 목표치로, 이는 엔비디아가 반도체 및 AI 시장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를 반영합니다. 시장의 큰 기대감이 담겨 있습니다.

2. 엔비디아의 강세와 반도체 업계 상황

2.1 TSMC와의 협력

엔비디아는 TSMC와 협력하여 최신 아키텍처 블랙웰 프로세서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COOS 패키징 케파를 50% 이상 증대했습니다. TSMC는 현재 월 25,000장의 생산량을 연말까지 월 40,000장으로 증가시킬 계획입니다.

 

2.2 GPU 생산

2024년 엔비디아의 예상 패키징 수량은 약 20만 장입니다. 평균 3만 달러의 판매 단가를 기준으로 하면, 이는 약 1200억 달러의 매출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2.3 데이터센터 매출

엔비디아의 데이터센터 매출은 높은 영업이익률(70% 이상)을 기록하며, 이는 애플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이는 엔비디아의 데이터센터 사업이 매우 수익성이 높음을 보여줍니다.

3. 기관들의 엔비디아 전망

3.1 키뱅크의 전망

키뱅크는 엔비디아의 새로운 아키텍처인 GB200의 성공을 예상하며 목표 주가를 12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엔비디아의 혁신적인 기술력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반영합니다.

 

3.2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전망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엔비디아가 2026년까지 연간 40%의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며, 목표 주가를 1100달러로 제시했습니다. 올해 P/E 비율은 63이며, 내년에는 25로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4. 엔비디아의 경쟁 상황

4.1 빅테크 자체 개발 칩

구글, 아마존, 메타 등 빅테크 기업들은 자체 개발 칩을 만들고 있지만, 엔비디아 칩의 수요는 여전히 높습니다. 이는 엔비디아의 기술력과 신뢰성이 반도체 시장에서 강하게 자리잡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4.2 소프트웨어 스택과 생태계

엔비디아의 쿠다(CUDA) 생태계와 소프트웨어 스택은 경쟁 업체들과의 차별화 요소입니다. 이는 엔비디아가 단순히 하드웨어 제조업체가 아닌, 포괄적인 플랫폼 제공자로서의 위치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3 추론 플랫폼

AI 추론 플랫폼에서도 엔비디아는 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엔비디아가 AI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

5.1 구글

구글의 클라우드 매출은 27% 증가하였으며, 영업 이익은 371% 성장했습니다. 구글은 120억 달러(약 15조 원)를 AI 인프라와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구입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투자는 구글의 AI 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입니다. 실적 발표 후 구글의 주가는 신고점을 달성했습니다.

 

5.2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의 AI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Azure)는 전년 대비 31% 성장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피스, 윈도우, 엑스박스 등 다양한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음 분기 예상보다 보수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6. AI 산업의 자본적 지출

6.1 빅테크의 AI 인프라 투자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를 포함한 대부분의 IT 기업들이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는 AI 매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6.2 AI 매출과 연관

AI 산업에 대한 자본적 지출은 AI 매출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AI 기술 발전과 수익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7. AI 기업의 수익 모델

7.1 AI 밸류 체인

AI 밸류 체인은 5단계로 구분됩니다: 칩스, 클라우드 인프라, 알고리즘,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엔비디아와 빅테크 기업들은 칩스와 클라우드 인프라 단계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7.2 알고리즘과 플랫폼

알고리즘과 플랫폼 단계에서는 수익 모델이 불명확하고, 많은 기업들이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AI 산업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입니다.

8. 골드러시 비유

8.1 AI 붐 속의 승자

AI 붐 속에서 인프라와 도구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승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이러한 기업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8.2 엔비디아의 독주

엔비디아는 향후 2-3년간 시장 지배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엔비디아의 기술력과 시장의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9. 결론

엔비디아의 놀라운 실적 성장과 주가 상승은 반도체 업계와 AI 산업 전반에 걸친 분석을 통해 그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강력한 경쟁력은 TSMC와의 협력을 통한 최신 아키텍처와 패키징 기술, 그리고 AI 클라우드 인프라와의 연계에서 비롯됩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AI와 클라우드 부문 실적도 함께 다루며, AI 산업의 전반적인 성장과 자본 지출에 대한 전망을 제시합니다. AI 밸류 체인의 여러 단계에서 성공할 기업과 어려움을 겪을 기업들을 구분하며, 엔비디아가 앞으로도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엔비디아는 여러 분기 연속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반도체 업계와 AI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1분기 실적과 매출 가이던스는 회사의 강력한 성장을 뒷받침하며, 이는 TSMC와의 협력, GPU 생산 증대, 데이터센터 매출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합니다. 기관들의 긍정적인 전망과 더불어 엔비디아는 AI 추론 플랫폼에서의 강세, 쿠다 생태계와 소프트웨어 스택을 통한 경쟁력 강화 등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 또한 AI 인프라 투자와 연관된 매출 증가를 보여주며, 이는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사로서의 역할을 강화합니다. 빅테크 기업들이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가운데, 엔비디아는 칩스와 클라우드 인프라 단계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AI 산업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엔비디아의 독보적인 시장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할 것입니다.

 

AI 밸류 체인의 알고리즘과 플랫폼 단계에서는 여전히 수익 모델의 불확실성과 적자 상태가 이어지고 있으나, 인프라와 도구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주요 승자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이러한 AI 붐 속에서 주요 승자로서 향후 2-3년간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적으로, 엔비디아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은 반도체 업계와 AI 산업 전반에 걸친 다양한 요인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TSMC와의 협력, GPU 생산 증가, 데이터센터 매출 증대, 그리고 주요 기관들의 긍정적인 전망은 엔비디아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AI 산업에서의 자본적 지출 증가와 관련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확대는 엔비디아의 매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엔비디아의 독주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반도체 업계와 AI 산업 전반에 걸친 엔비디아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